블로그

티스토리 공백문자 없애는 방법, &nbsp ,복사/붙이기 팁

Gazua3185 2023. 4. 10. 13:39
반응형

목차
1. &nbsp , 공백문자
2. html 모드에서 공백문자 없애기
3. 메모장을 이용해서 없애기


1. &nbsp , 공백문자

 
구글 번역기에서 번역한 글이나,  다른 블로그의 글을 붙여 넣기 하다 보면, 가끔 띄어쓰기한 빈칸에 &nbsp:라는 문자들이 html모드에서 보이는 것을 경험하셨을 겁니다. 저도 가끔 이런 경험을 하는데, 처음에는 어떻게 제거해야 하나 이런저런 고민을 해보고, 이런 방법 저런 방법을 시도해 보고, 제가 터득한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구글 번역 복사 붙여넣기
구글 번역 복사 붙여넣기

 

예를 들어, 구글 번역에서 번역된 문장을 내 블로그에 복사/붙여 넣기 하고, html 모드로 진입해서 확인해 보면 해당 글에 아래와 같이 &nbsp의 문자가 들어가 있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공백문자는 구글번역 내용을 붙여넣기 할 때도 생기고, 일반 텍스트 에디터(Notepad, Notepad++, Ultraedit 등)에서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할 때도 생깁니다.
 
공백문자가 들어가 있으면 뭔가 깔끔한 느낌이 들지 않고, 다른 데서 복사/붙여넣기한 것이 검색엔진에게 노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찜찜함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페이지를 로드하는 데도 이런 공백문자로 인해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고 합니다. 

 

공백문자

 

그래서 이런 성가신 공백문자를 없애고 복사/붙여 넣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 html 모드에서 공백문자 없애기

아래와 같이 따라 하시면 됩니다. 
 
1) 티스토리 글 에디터에서 'HTML' 모드로 들어갑니다. 

 

2) HTML 모드에서 해당 위치에다가 복사한 텍스트를 붙여 넣기 합니다.
 
이렇게 하면   없이 텍스트를 붙여 넣기 할 수 있고, 기본모드로 돌아가서 텍스트에 대해서 필요한 편집을 하면 됩니다.

 

공백문자 없이 html모드에서 붙여넣기
공백문자 없이 html모드에서 붙여넣기

 

2. notepad를 이용해서 없애기

 

공백문자에 대한 사실을 모르고 예전에 썼던 글에서 공백문자를 삭제하려는 경우는 html모드에서 수정하려면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경우는 메모장 같은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장은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편집기 프로그램입니다. 그래서 윈도 사용자라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따라 하시면 됩니다.  

 

1) 문자를 없앨 블로그를 편집 모드로 열고 'HTML'로 모드로 진입합니다. HTML 모드로 변환해 보면 아래 화면과 같이   문자가 많이 보입니다.

 

 
2) HTML 모드에서, 페이지에 있는 모든 텍스트를 단축기 Ctrl-A를 눌러서 선택하고,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 넣기 합니다.
 
3) 편집메뉴에서 바꾸기를 선택하여  &nbsp: 를 공백으로 "모두 바꾸기(A)"를 눌러 변경합니다. 

바꾸기 메뉴
바꾸기

 

이렇게 하면    문자가 전부 공백으로 바뀝니다.

 

5) 메모장에서   문자가 전부 사라진 텍스트 내용을 Ctrl-A를 눌러 전부 선택하게 하고, Ctrl-C를 눌러 복사합니다. 
 
6) 블로그 글 에디터에서 HTML모드에서 텍스트 내용을 모두 지우고,  Ctrl-V를 눌러서 붙여 넣기 하면 끝입니다. 
 
이제 복사/붙여 넣기의 흔적이 없는 말끔히 세탁된 글을 포스팅할 수 있습니다. 불안해하지 마시고, 복사/붙여 넣기 하시기 바랍니다.  아직도 복사 금지된 블로그 글 우클릭 복사 금지 해제 방법을 찾지 못하셨나요? 그럼 아래글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친절하게 설명해 두었습니다. 
 
우클릭 복사 금지 해제 방법 및 저작권 이해하기

우클릭 복사 금지 해제 방법 및 저작권 이해하기

목차 저작권 이해하기 저작권 Q&A 우클릭 복사 금재 해제 방법 저작권 유의사항 우선, 복사 금지 해제에 관한 팁을 설명하기 전에, 인터넷에서 자료나 이미지를 복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

gauza-100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