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옥수수 특징 및 재배 조건
2. 옥수수 종류
3. 옥수수 심는 시기
4. 옥수수 밭 만들기
5. 옥수수 모종 심기
6. 옥수수 재배관리
7. 옥수수 물 주기
8. 옥수수 김매기
9. 옥수수 수확하기
10. 옥수수 보관하기
옥수수는 과거나 현재나 모두가 맛있게 즐기는 간식입니다. 겨울이 지나고 다시 봄이 찾아와 옥수수를 심는 계절이 되었습니다. 옥수수는 키우기 쉬운 작물에 속합니다. 병충해도 강해 특별히 관리를 하지 않아도 잘 자랍니다. 옥수수를 직접 키워 즐길 수 있도록 옥수수 키우기 위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옥수수 특징 및 재배 조건
옥수수는 열대 지방인 중남미가 원산지기 때문에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따뜻한 기후 조건이 필수적입니다. 밤의 기온이 10℃ 이하가 되면 생육이 멈추고, -1.7℃ 이하면 옥수수가 얼어 죽어버리므로 최저 기온이 10℃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밤의 기온은 16~18℃가 가장 적합합니다. 기온이 높으면 호흡이 많아져 낮 동안 생산된 물질이 더 많이 소모되고, 꽃가루가 나오는 시기에 35℃ 이상의 고온이 계속되면 꽃가루가 죽어서 수확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옥수수는 일정한 온도 이하에서는 자라지 않습니다. 파종기부터 성숙기까지 10~30℃ 내외의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옥수수 씨앗이 발아하기 위해서는 최저 8~11℃, 최적 32~34℃, 최고 40℃ 내외의 온도가 필요합니다.
온도에 따라 씨앗을 파종하여 싹이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도 다릅니다. 토양 온도 13℃에서는 18~20일, 15~18℃에서는 8~10일, 21℃ 이상이 되면 4~6일이 걸립니다. 따라서 온도는 옥수수 생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발아율, 발아 기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옥수수의 생육을 위해서는 최대용수량의 60~80% 범위 내에서 토양 수분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월평균 90
~120mm의 비가 오는 것이 적절합니다. 생육 초기보다는 생육이 왕성하고 온도가 높은 7~8월에 수분이 많이 필요하며, 월별 150mm까지 많은 양의 수분을 소비합니다.
특히 개화기 전후는 토양 수분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입니다. 만약 이 시기에 가뭄이 발생하면 옥수수의 수정과 등숙 등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전체적으로 옥수수 수량에 타격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충분한 관리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2. 옥수수 종류
옥수수는 찰옥수수와 단옥수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찰옥수수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먹는 종류이며, 색깔에 따라 흰 찰옥수수, 노랑 찰옥수수, 검정 찰옥수수, 얼룩 찰옥수수 등으로 구분됩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맛있는 찰옥수수 품종에는 흰 찰옥수수 ‘일미찰’, 노랑 찰옥수수 ‘황금맛찰’, 검정 찰옥수수 ‘흑진주찰’, 얼룩 찰옥수수 ‘얼룩찰 1호’ 등이 있습니다.
찰옥수수는 탄수화물,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특히 검정찰옥수수에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안토시아닌이 풍부합니다. 노랑 찰옥수수 ‘황금맛찰’에는 일반 찰옥수수에 비해 비타민 에이(A)와 눈 건강에 좋은 베타카로틴이 8배(16.4㎍/100g)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단 옥수수는 찰옥수수의 평균 당도 8 브릭스에 비해 2~3배 높은 당도를 가지고 있으며, 과일처럼 생으로 먹을 수 있는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고당옥1호'라는 달콤한 단 옥수수 품종은 멜론이나 수박(12~14 브릭스) 보다 당도가 높으면서도 100g당 약 147.6kcal로 열량이 낮아 식이 요법 식품으로 좋습니다.
단 옥수수는 과일처럼 생으로 먹거나, 전자레인지나 에어프라이어를 이용해 구워 먹거나, 찜기에 쪄서 먹을 수 있습니다. 껍질만 제거하면 된다는 것도 장점 중 하나입니다. 생으로 먹을 때는 알갱이가 톡톡 터져 씹는 맛이 아주 좋습니다.
3. 옥수수 심는 시기
씨앗심기
옥수수 씨앗 심기로 직파할 경우, 옥수수 파종시기는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입니다. 옥수수 심기는 한 번에 파종하기보다는 순차적으로 파종해서 수확시기를 달리하는 게 좋습니다.
옥수수는 수확하자마자 바로 쪄서 먹어야 제 맛을 느끼기 때문에 한꺼번에 수확해서 보관하며 먹는 것보다는 적당량을 수확해서 먹고, 또 수확하고 하는 게 맛난 옥수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계속해서 갖게 되는 겁니다.
모종 심기
옥수수는 씨앗으로 심기를 하면 새 피해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씨앗으로 파종하기보다는 육묘를 해서 모종을 만들어 심거나 시중에서 옥수수 모종을 사다가 심는 게 수월합니다.
옥수수 모종의 심는 시기는 늦서리가 끝나는 시점인 5월 초 이후에 심는 게 좋습니다. 육묘를 하는 경우, 4월 초순에 포트 파종해서 20여 일 키우면 모종으로 사용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늦서리가 지나고 5월 초에 텃밭에 심으면 됩니다.
재 배 유 형 | 파종시기 | 심는시기 | 수확시 |
비닐하우스재배 | 2월상순~중순 | 2월하순~3월상순 | 5월하순~6월상순 |
터널재배 | 3월상순~중순 | 4월상순 | 6월중순~하순 |
멀칭재배 | 4월상순 | 직 파 | 7월상순~중순 |
보통재배 | 4월중순 | 직 파 | 7월하순~8월상순 |
가을재배 | 7월상순 | 직파 | 9월하순 |
4. 옥수수 밭 만들기
옥수수는 크게 자라고 햇빛을 이용한 탄소동화작용이 월등한 작물입니다. 거름 효과도 크기 때문에 척박한 땅에서도 거름을 주기에 따라 수량을 올릴 수 있다. 키가 2m 이상 크기 때문에 비료가 많이 주어야 합니다.
보통 밭을 만들 때 1평에 퇴비 1포(20kg) 비료 600g 정도 뿌립니다. 두둑은 70cm 정도로 만듭니다. 두둑 높이는 20cm 정도면 됩니다.두둑은 1열이나 2열 재배가 가능하며, 비닐멀칭을 하는 것이 잡초관리에 좋습니다.
5. 옥수수 모종 심기
한 줄 심기를 할 경우에는 25cm 이상 거리를 두고 심고, 여유가 되면 더 넉넉한 간격을 두고 심을 수도 있습니다. 구멍 깊이는 5~10cm 정도로 하면 됩니다.
6. 옥수수 재배관리
옥수수 재배의 중요한 요소로는 곁순제거와 북주기가 있습니다.
옥수수는 30cm 정도 자랐을 때 밑동에서 곁순이 나옵니다. 이 곁순을 제거해 주는 것이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곁순 세력이 약하면 굳이 제거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또한, 옥수수는 자라면서 뿌리가 지상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이 부분을 흙으로 덮어주는 것을 북주기라고 하는데 키 큰 옥수수가 비바람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북주기가 쉽지 않다면 장마시즌이 오기전이나 태풍 예보가 있을 경우 옥수수 상단을 끈으로 서로 묶어줘서 쓰러지지 않도록 해줍니다.
옥수수는 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다비성작물입니다. 밑거름이나 웃거름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키도 작고 쭉정이만 가득한 옥수수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질소비료를 모두 밑거름으로 주면 토양에서 손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밑거름과 웃거름을 나눠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웃거름은 옥수수 잎이 7~8장 나오고, 성인의 무릎 정도 자란 시점에서 주는 것이 적당합니다.
7. 옥수수 물 주기
옥수수는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나 너무 건조하면 비료의 흡수도 불량하게 되어 생육이 부진하고 잎이 연녹색으로 됩니다. 따라서 흙이 언제나 촉촉하다는 기분이 들 정도로 물을 줍니다.
8. 옥수수 김매기
비닐멀칭을 한 경우는 따로 김매기를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멀칭을 하지 않았을 경우 잡초제거를 해줘야 합니다. 김매기는 단순히 잡초를 제거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흙을 뒤집어 공극률을 좋게 해서 산소의 원활한 공급을 하게 해 줍니다.
9. 옥수수 수확하기
수확적기는 옥수수수염이 나오는 날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간식용으로 이용하는 찰옥수수는 수염이 나오고 23∼27일 정도가 지나 수확하면 맛 좋은 찰옥수수를 즐길 수 있습니다.
단 옥수수는 수염이 나온 후 20~23일쯤에 수확해야 적당합니다. 다만 여움 기간 동안의 온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수염이 나온 후 20일이 지나면 이삭 껍질을 벗겨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10. 옥수수 보관하기
오래 두지 않고 먹을 것은 신문로 싸서 비닐팩에 담아 냉장고 냉장실에 보관 오래 두고 먹으려면 생옥수수를 신문지로 싸서 비닐팩에 밀봉하여 냉동실에 보관하거나 옥수수를 쪄서 뜨거운 상태로 냉동실에 보관합니다.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농약을 이용한 병충해 방제, 친환경 농약, 해충 종류 (5) | 2023.03.14 |
---|---|
3월 텃밭 채소, 직파하기,모종심기 (0) | 2023.03.14 |
돼지감자 효능, 재배조건, 재배방법, 심는시기 (0) | 2023.03.09 |
상토와 배양토 차이점, 구성 재료, 조건 (0) | 2023.03.07 |
텃밭 상추 키우기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