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는 호불호가 나눠지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는 봄에 맛볼 수 있는 과일이었지만, 현재는 시설재배를 통해서 겨울에 즐길 수 있는 귤과 함께 대표적인 겨울 과일이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딸기 노지 재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작은 텃밭을 빌려 한해 한해 텃밭가꾸기를 할 경우 노지 딸기 재배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유는 한해살이 작물이 아니기 때문에 매해 같은 장소에서의 텃밭 가꾸기가 아니라면 현실적으로 노지딸기 재배는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집 앞 본인 텃밭이 있다면 일부 공간을 마련해 딸기 모종을 심어주면 다음 해 한 식구 먹을 만큼 딸기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1. 딸기 효능
딸기에는 비타민C, 당질, 미네랄을 적당히 함유되어 있어, 영양유지에 탁월하고, 특히 비타민C의 양이 대체로 500mg으로 하루 5~6개면 감기예방에 충분합니다.
잇몸에서 자주 피가 나는 사람이 딸기를 먹으면 잇몸이 튼튼해지고 치주염을 예방해줍니다. 딸기의 섬유질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소화기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딸기는 심장병 치유효과가 있으며 딸기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암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딸기안에는 팩틴이라는 성분이 있어 대장활동을 촉진시키 줘, 아침마다 몇 개씩만 섭취하면 변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딸기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눈을 안정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2. 딸기 재배 방법
딸기 재배방법에는 1년식 재배와 다년식 재배방법이 있습니다. 1년식 재배방법은 가을마다 새 모종을 심어 1번만 수확하는 방식이고, 다년식 재배방법은 한번 모종을 심고, 몇년간 계속해서 수확하는 방식입니다.
따뜻한 지방에서 시설재배로 촉성 또는 반촉성 재배를 할때는 1년식 재배를 하고, 추운 지방에서는 묵은 어미포기와 불필요한 포복지를 솎아내고 3~4년 노지에서 수확하는 다년식 재배를 많이 합니다.
노지에서 재배하기에 알맞은 품종으로는 육보(레드펄) 품종이 무난합니다. 다른 품종에 비하여 병해충에 강하여 재배하기가 용이하고 고온기에도 과실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딸기 재배 환경
온도
딸기는 추위에 강해서 저온에서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딸기가 자라기에 적당한 온도는 주간 17~18℃이며, 20℃이상이면 성장에는 좋지 않지만, 꽃이피고, 열매를 맺는 데는 적당한 온도입니다.
딸기는 습기를 좋아하며, 건조에는 약합니다. 특히 수확기에 온도가 높고 땅이 건조하면 수확량과 품질이 떨어집니다. 가을이 되어 온도가 낮아지고, 낮의 길이가 짧아지면 성장이 멈추는 휴면기에 들어갑니다.
토양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고, 배수가 잘되지만, 물을 보유하는 능력이 좋은 토양이 좋습니다.
특성
일반적으로 9월 하순∼10월 상순에 기온이 17℃ 정도로 떨어지고 낮의 길이가 12시간 정도일 때 생장점이 꽃눈으로 되어 분화가 뒤따라 일어납니다. 딸기의 꽃은 '제꽃가루받이'도 하지만, 벌 등이 꽃가루를 묻혀 옮기는 형태의 '다른 꽃 가루받이'를 합니다.
4. 딸기 모종 심는 시기 및 방법
월 작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
딸 기 (노지 작형) |
||||||||||||||||||||||||||||||||||||
● | ● | 아들묘 증식 | ★ | ★ | 노 지 월 동 | |||||||||||||||||||||||||||||||
노 지 월 동 | □ | (이듬해 수확) | ||||||||||||||||||||||||||||||||||
● 어미묘심기, ★ 아들묘 아주심기, □ 수확
어미묘 심는방법
병충해를 입지 않은 튼튼한 모종을 3월 중순과 4월 중순 사이에 정식합니다. 150cm 내외의 두둑에 30~40cm 간격으로 정식합니다.
아들묘, 러너(포복지) 받는 방법, 증식 방법
딸기 모종이 크면 줄기가 나오는데, 이를 러너라고 부릅니다. 러너(포복지)를 잘 이용하면 모종의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러너를 받는 방법은 발생한 러너를 핀을 이용해서 땅에 박아 주면, 뿌리가 내립니다. 뿌리가 내린 상태에서 어미묘와 연결된 줄기를 끊어 주면 됩니다.
딸기 육묘 기간은 보통 3월~9월까지 6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5월 하순까지 발생한 꽃대 및 런너는 제거하여 어미묘를 튼실하게 키우고, 우량한 러너를 얻기 위해서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고온기 탄저병 등 주기적인 병해충 관리가 중요합니다.
아주 심는 시기와 방법
딸기 모종 아주심기는 9월 중하순에서 10월 초순에 합니다. 비닐 멀칭 후에 20cm 간격으로 고량당 2줄로 심습니다. 모종을 심을 때는 너무 깊거나, 얕게 심지 않고, 아래와 그림과 같은 깊이로 심어 줍니다.
정식방향은 꽃대가 나오는 방향을 염두에 두고 정식하는 것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어미포기 방향의 반대쪽에서 꽃대가 나오므로 그림과 같이 화방 출현 방향이 두둑의 바깥으로 향하도록 합니다.
밑거름으로는 두엄, 인산 및 칼륨을 주는데, 다년식 재배인 경우에는 매년 초가을에 줍니다. 봄에 주는 덧거름은 일찍 주어야 하는데, 이때 질소질 거름만을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시기가 늦으면 잎만 무성하고 열매가 잘 자라지 않습니다. 꽃이 피기 직전에 짚을 갈아줍니다.
5. 딸기 재배관리
노지월동을 위해서는 겨울철 동해 및 건조해를 받지 않도록 볏짚으로 피복해 줍니다.
뿌리가 많고 관부(크라운)가 굵은 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식시기를 준수하고 초기 물 관리 등 세심한 관리를 하여 조기에 활착 시켜야 겨울을 무사히 넘길 수 있습니다. 이듬해 봄부터 수확 이전에 발생하는 런너와 곁눈은 수시로 제거합니다.
딸기는 서늘한 기온을 좋아하는 과일입니다. 추위에는 강하나 중부지방에서는 덮어주지 않으면 잎이 죽고, 봄에는 발육이 진행된 1~2개의 꽃이 동해로 죽는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6. 딸기 수확하기
착색이 약 80% 진행되었을 때 수확합니다.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박 키우기, 수박 모종심는 시기, 수박 순치기,수박 순지르기 (1) | 2023.04.10 |
---|---|
참외 재배하기, 참외 파종하기, 참외 모종심는 시기, 참외 순치기, 참외 적심 (0) | 2023.04.10 |
텃밭 고추 키우기 (0) | 2023.04.10 |
4월 텃밭 채소, 4월 파종 작물 (0) | 2023.03.24 |
텃밭 만들기, 이랑 만들기, 밑거름주기, 밭갈이 (1)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