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박 생육 환경
2. 수박 심는 시기
3. 수박 밭 만들기
4. 수박 모종 심기
5. 수박 재배관리
6. 수박 순 지르기
7. 수박 수확하기
여름을 대표하는 과일 하면 수박입니다. 피서하면 생각나는 수박, 빨간 수박, 이런 수박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텃밭을 하는 사람이라면 수박을 잘 키워서 여름에 시원하게 해서 먹는 로망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박 키우기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수박은 리코펜이라는 영양분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리코펜은 암과 당뇨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런 좋은 수박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수박 생육 환경
수박박과에 속하는 일 년생 식물로, 씨앗이 발아하는데 적정한 온도는 28~30℃이고, 꽃이 피는데 적정온도는 15~20℃ 생육에 적당한 온도는 25~30℃입니다.
토심이 깊고 통기와 배수가 잘되는 토양산도 pH 5.0~6.8 정도의 약산성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수박은 연작장해를 비롯하여 환경 스트레스와 병해에 약하기 때문에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이용하는 접목재배를 합니다..
수박의 뿌리는 공기를 좋아하고 깊게 뻗기 때문에 토심이 깊고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가 좋습니다.
2. 수박 심는 시기
수박 모종 심는 시기는 늦어서 피해가 없는 5월 상순경이 적기이며 늦게는 5월 하순까지 정식 가능하지만 보통 5월 상순~ 중순경에 모종을 심습니다.
3. 수박 밭 만들기
정식하기 2주 전에 밭을 만듭니다. 밑거름을 주고 수박의 이랑은 중앙부를 높게 하고 경사지게 만들어 이랑 위에 물이 고이지 않게 해야 합니다. 이랑의 높이는 높게 만드는 것이 좋으며 배수로는 많은 비가 내려도 골에 물이 고여 있는 시간이 짧도록 20㎝이상 깊게 만들어야 습해 및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랑의 너비는 재배자에 따라 다르지만 300㎝내외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주심은 후에 지온이 낮으면 뿌리내림이 늦어져 생육이 불량해지므로 아주심기 전에 이랑에 바닥 덮기(멀칭)를 해서 최대한으로 지온을 상승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덮기는 비닐필름을 사용하며, 바닥 덮기를 하면 지온 상승효과 외에도 제초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텃밭 만들기, 이랑 만들기, 밑거름주기, 밭갈이
목차 1. 밑거름주기 2. 밭갈이 3. 이랑 만들기 텃밭을 만들기로 하셨다면, 텃밭 만들기를 하셔야 합니다.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갖춘 텃밭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
gauza-1000.tistory.com
4. 수박 모종 심기
모종 심는 시기는 4월 하순~5월 상순경 바람이 없고 따뜻한 날에 묘 뿌리가 끊이지 않도록 조심하고, 가능한 얕게 심어야 뿌리의 활착이 빠르게 합니다. 아주심기 전, 심을 구덩이를 파고 물을 듬뿍 줍니다.
수박의 본엽이 5∼6매가 되면 밭에 심는데, 이랑나비는 3.5∼4m로 포기 사이를 60∼90cm 심거나, 이랑나비 2m 포기사이 2m로 심습니다. 모종 흙 높이가 지면보다 다소 높거나 같은 깊이로 심습니다. 묘 주위에 흙을 잘 묻혀서 묘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되, 묘를 눌러 심어서는 안 됩니다. 접목묘는 접합 부분이 가능한 지면보다 높게 합니다.
5. 수박 재배관리
정식 후 순정리는 초세를 보면서 하고 초세가 강하면 늦게, 약하면 일찍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순정리는 맑고 따뜻한 날에 아들 줄기가 40~50㎝정도에 순정리를 하고 병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제를 바로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 주기
물 주기는 초기는 최대한 뿌리 부분에만 적게 주고 본엽 10~13매 이후부터는 물량을 늘려 다습하게 관리를 합니다. 착과 후에는 과실의 발육이 자방의 크기, 개화 후 7~14일간 초기 생육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착과 시킨 후부터는 충분하게 물을 줍니다.
착과중기부터는 덩굴과 잎의 생장을 억제하고, 잎 속에 남아 있는 탄수화물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서서히 관수량을 줄인다. 후기에는 내용물이 충실해지고 당도를 높이기 위해 수확하기 7~10일 전 관수를 중단한다.
웃거름 주기
첫 번째 웃거름은 정식 후 2주 지나서 주변의 흙을 가볍게 긁어주고, 뿌리에서 조금 떨어진 포기 주변에 웃거름을 놓아줍니다.
두 번째 웃거름은 꽃이 피기 시작하면 한 번 더 포기 주변에 거름을 놓아줍니다.
착과
수박을 일찍 따려고 너무 일찍 낮은 마디에서 착과 시키면 과일 비대가 불량하고 어깨가 퍼진 변형과가 되기 쉬우며 후반 초세가 저하되고 생리적인 급성 시들음증을 일으킬 수 있 습니다. 또한 너무 늦게 높은 마디에 착과시키면 배꼽이 커져서 결과가 많고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수박은 한 줄기에 수박 하나를 착과 시키는데 그 위치는 보통 18~21 마디에 착생하는 3번째 암꽃을 수정시켜 착과를 시킵니다. 그러나 영양이 부족하거나 환경이 불량하여 수박 싹의 세력이 약한 경우에는 이보다 5~6 마디 위, 즉 24-27 마디 정도에서 착생하는 4번째 암꽃에 수정을 시켜 수박을 달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지재배에서는 곤충에 의해 자연수정이 이루어지지만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공수 분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설재배에서는 반드시 인공수분을 해야 하며 인공수분은 오전 8~9시 사이에 하는 것이 착과율이 높고 11시 이후부터는 떨어지므로 오전 중에 가급적 일찍 하도록 해야 합니다.
착과 된 과실을 모두 키우면 과실 비대가 불량해져서 여러 가지 생 리장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1주 1 과를 남기고 적과 해야 합니다. 적과 시기는 과실이 계란 크기가 되었을 때 모양이 좋고 꼭지가 굵고 긴 것을 남기고 적과를 하면 됩니다.
착과 시킨 수박의 밑에는 볏짚이나 받침기구를 놓아서 수박이 직접 지면에 닿지 않도록 관 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수확 1주 전에는 과실을 옆으로 돌려서 햇빛이 닿지 않는 부 분에 햇볕을 쪼여 과실 전체를 고루 착색시켜야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6. 수박 순 치기
본잎이 4~5매 될 때 순 지르기를 하여 곁순을 2~3개 받아 키우다가 20~30cm 정도 자랄 즈음에 길이가 같은 두 개의 곁순을 남겨 유인합니다.
유인한 두개의 줄기의 15~20절 부근에서 착생되는 2~4번 암꽃에 착과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노지에서는 자연수분이 가능하나, 확실한 착과를 위해서는 꽃이 핀 날 아침(8~9시 전) 수꽃의 꽃가루를 암꽃의 암술머리에 가볍게 문질러 줍니다. 고온과 강한 광선을 좋아하는 수박은 저온, 일조부족이 되면 착과를 시키기 어렵고 과실 비대가 불량하게 됩니다.
1. 본 잎이 5장 나왔을 때 원줄기 적심합니다.
2. 아들줄기 중 튼실한 줄기 2개만 키우고 나머지는 순을 따줍니다.
3. 아들줄기 15번 이하의 암꽃과 곁순(손자줄기)은 모두 제거합니다.
4. 아들줄기 15~20번 암꽃에서 수박이 달리면 이후 나오는 암꽃은 모두 제거합니다.
5. 수박이 열리면 손자줄기는 곁순을 모두 키워서 잎이 많이 달리게 합니다.
1개의 수박이 익으려면 50개의 수박잎을 필요로 합니다. 아들줄기 15~20마디 사이에 열매가 달리기 전에는 15마디 이하에서 나오는 손자줄기는 모두 따내고 아들줄기에 수박이 달리면 아들줄기에서 나와 자라는 손자줄기의 곁순제거를 하지 않습니다.
7. 수박 수확하기
수박 수확 시기는 착과 후 대과종은 40~45일, 소과종은 33~37일경입니다.
과실의 성숙일 수는 착과 후 대과종은 40∼45일이고, 소과종은 33∼37일입니다. 암꽃에 수정작업을 해준 날짜를 적어두고 수확 날짜를 계산하여 수확하면 좋습니다.
열매가 더 자라지 않고 색이 짙어질 때쯤, 두드려봐서 맑은 소리가 나면 수확합니다. 꽃이 피고 거의 50일 정도 후입니다. 신문지 등으로 수박을 가려야 볕이 강하면 열매가 터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확시기 판단방법
- 과실이 달린 줄기의 덩굴손이 노랗게 변해있거나 시들어 있다.
-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겉껍질에 윤기가 나고, 호피무늬가 선명해지며 털이 없다.
- 발육이 충실한 과실은 어깨가 펴지고, 과일꼭지 주변에 결이 생긴다.
- 미숙한 것은 깡깡하는 금속음이 나고, 성숙된 것은 통통하는 탁음이 있다.
- 성숙된 것은 꽃자리를 눌러보면 탄력이 있다.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 파종(모종) 심는시기,호박 재배관리,호박 순지르기/순치기방법 (1) | 2023.04.10 |
---|---|
당근 효능, 재배환경, 당근 키우기,당근심는시기,당근심기 (0) | 2023.04.10 |
참외 재배하기, 참외 파종하기, 참외 모종심는 시기, 참외 순치기, 참외 적심 (0) | 2023.04.10 |
노지 딸기 재배 방법,딸기 모종 심는 시기, 딸기 키우기 (0) | 2023.04.10 |
텃밭 고추 키우기 (0) | 2023.04.10 |